본문 바로가기

생활

태풍 "카눈" 경로, 매년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 작명 센스

반응형

2023 올해 태풍은 카눈이라고 이름지 지정되었습니다.

 

현재 기상청의 예상 경로는.

오후 3시 일본 오키나와 북동쪽 240㎞ 해상을 지나 시속 9㎞로 북동진 으로 갈 예정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08/07기준)
카눈은 10일 낮 정도에 영남 해안으로 상륙한 뒤 오후 3시 대구 북쪽 50㎞ 지점까지 올라와 한반도를 관통할 것이라고 합니다.

카눈은 대구 북쪽에 이를 때까지 강도가 '중'을 유지하고 이때 영남 대부분은 초당 풍속 25m 이상인 폭풍반경에, 전국은 초당 풍속 15m 이상인 강풍반경에 들어갈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태풍이 왜 생기는지 매년 왜 꼭 한번씩 발생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태풍이란

태풍이란, ​​북태평양 남서역의 열대의 해상에서 발달한 열대 저기압 중, 더욱 발달해 최대 풍속(10분간 평균)이 17m/s(미터당 초)(34노트) 이상이 된 것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태풍은 열대 습한 공기를 많이 포함한 적란운이 모여 있어 태풍이 접근하면 태풍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적란운에 의해 폭우가 일어나 토사 재해나 홍수, 침수 등의 피해를 받기 쉬워진다 합니다.

 

 

 매년 태풍이 생기는 3가지 이유

태풍이 생기는 근원적인 세 가지

1. 태양에서 공급되는 열에너지,

2. 중력에 의한 대기압,

3. 하루 한 번의 지구 자전운동 

태양의 에너지를 바닷물이 흡수하여 수증기가 만들어져 대기 상층으로 상승하고, 대기 상층의 낮은 온도에서 응결하면서 잠열을 방출하여 상층의 공기를 가열하여 팽창된 가벼워진 공기는 무게가 적은 저기압의 공기기둥을 형성해서 그 기둥의 하부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주변의 공기가 저기압 기둥으로 몰려들면서 바람을 만듭니다.

그 바람이 지구의 자전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의 소용돌이 바람을 일으켜 깔대기 같은 수직 소용돌이를 만들어 수증기를 점점 더 많이 빨아 올리게 되고, 이 현상이 반복하면서 성장한 저기압 기둥이 초속 17m/s 이상의 소용돌이 바람으로 강해진 것을 태풍이라고 정의합니다.

반응형

 태풍이름은 누가 작명하나?

태풍 이름은 1953년 호주 예보관들이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 이름을 애칭으로 붙이면서 시작됐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 공군과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태풍 이름을 붙이기 시작하였는데, 이때는 자신의 아내나 애인 등 여성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여성 차별 문제가 제기되어 1979년부터는 남성과 여성의 이름을 번갈아 사용했습니다.

태풍 이름은 2000년부터 지어진 것으로, 태풍위원회에서 14개 회원국이 각자  예비 태풍 이름을 제출한 다음, 고유 언어를 5개조로 나누어 태풍이 발생하면 순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0년 1월부터는 제32차 태풍위원회 총회에서 아시아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 태풍 이름을 항상 서양식 이름만 사용하던 것을 아시아 지역 14개국의 고유 이름으로 변경하기로 한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한다. 태풍이 연간 약 30여 개 발생하기 때문에 전체 이름을 다 쓰려면 4~5년이 걸린다.

우리나라는 영문 표기가 용이하고 발음하기 편리한 동식물에서 주로 태풍이름을 정하고 있다. 이는 태풍 이름이 특정 지역이나 단체, 개인과 연관되는 경우 항의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0호 태풍은 하이선(HAISHEN)에 이어 발생하는 제 11호태풍은 노을(NOUL), 제 12호 태풍은 돌핀(DOLPHIN)으로 기록된다.

 

 태풍과 허리케인의 차이점

태풍은 원래 열대 저기압이며 열대 저기압은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합니다. 태풍은 동경 180도보다 서쪽 북서태평양 및 남중국해에 존재하는 열대 저기압 중 최대 풍속이 17m/s초 이상이 된 것입니다.

 

한편 허리케인은 북대서양, 카리브해, 멕시코만 및 서경 180도보다 동쪽의 북동태평양에 있는 열대 저기압으로 최대 풍속이 약 33m/s 이상이 된 것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태풍과 허리케인은 태풍이 발생하는 장소와 최대 풍속의 차이에 따라 명칭이 다릅니다.

 

 

 태풍과 사이클론의 차이점

태풍은 동아시아 주변의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반면, 사이클론은 벵골만이나 아라비아해 등의 인도양, 남태평양에 존재하는 열대 저기압 중 최대 풍속이 약 17m/s 이상이 되었다 물건을 가리킵니다.

 

태풍과 사이클론은 최대 풍속에 차이는 없지만 허리케인처럼 태풍이 발생하는 장소에 따라 명칭이 다릅니다.
또한 때로는 사이클론은 열대 저기압과 온대 저기압을 구별하지 않고 널리 저기압 일반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됩니다.

 

 

 

2023 올해 장마철 기간, 장마 끝

 

2023 올해 장마철 기간, 장마 끝

2023 올해 장마철 기간, 장마 끝 올해 장마철 기간은 기상청에서 6월 25일쯤 남쪽에서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3 장마철 기간 간단 정리!! 전국 동시 장마는 전선에서의 저기압

everyonehi.tistory.com

 

 

2023 무더위 여름 필수 비타민, 영양제

 

2023 무더위 여름 필수 비타민, 영양제

여름에 더위를 먹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것을 방지하기위해서 여름에 먹으면 좋은 비타민, 영양소를 알아봅시다. 또 더위를 먹었을 때의 증상을 알아봅시다. 영양소 비타민 B1 비타민 B1은 포도

everyonehi.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