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독립에서 가장 고민거리인 전세자금입니다.
월세는 비싸고 대출 이자의 허덕이면서 살고 싶지 않은 청년.
대출이자와 대출 한도 금액 등 청년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총정리
이러한 청년들을 위한 정책이
주택도시기금의 버팀목 전세자금 지원 사업을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정의
소득 5천이하의 사회초년생과 함산소득 6천 이하의 신혼부부들에게
2년동안 큰 금리 해택을 주는 정책입니다.
대상자
- 주택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임차 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 접수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
-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자
- 주택도시기금대출, 은행 전제자금대출 및 주택담보대출 미이용자
-신청인과 배우자의 합산 총소득이 5천만원 이하인 자.
- 신청인과 배우자 합산 순자산 가액이 통계청 조사 중 소득 3분위전체가구 평균값 이하인자.
(2023기준 .61억원)
대출이 불가능
- 한국신용정보원에서 정의한 '신용정보 관리규약'애 신용정보 및 해제 정보가 남아 있는경우 불가능합니다.
- 접수일 기준 현재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고 있는 자.
결론
5%이상 계약금을 지불 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중복대출이 아니고 무주택 세대주, 총 소득과 자산만
맞다면 누구든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대출 금리
- 연소득: 2천만원 이하인경우
임차 보증금이 5천만원 이하 인경우 : 1.8%
임차 보증금이 5천만원 초과 1억 이하 인경우 : 1.9%
임차 보증금이 1억 초과 인경우 : 2.0%%
- 연소득: 2천만원 초과 4천만원 이하인경우
임차 보증금이 5천만원 이하 인경우 : 2%
임차 보증금이 5천만원 초과 1억 이하 인경우 : 2.1%
임차 보증금이 1억 초과 인경우 : 2.2%%
- 연소득: 4천만원 초과 6천만원 이하인경우
임차 보증금이 5천만원 이하 인경우 : 2.2%
임차 보증금이 5천만원 초과 1억 이하 인경우 : 2.3%
임차 보증금이 1억 초과 인경우 : 2.4%%
※ 임차 보증금 = 그냥 보증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 연봉이 2천만원이고 대출을 5천만원 할경우 이자가 1.8%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출 한도
1 . 호당 대출 한도
- 일반가구 수도권 = 1.2억원 수도권 외 = 8천만원 |
- 2자녀 이상 가구 수도권 = 3억원 수도권 외 = 2억원 |
2. 소요자금에 대한 대출 비율
-신규 계약 일반가구: 전세금액의 70% 이내 신혼가구, 2자녀 이상 가구 : 전세금액의 80% 이내 |
- 갱신 계약 일반가구: 증액금액 이내에서 증액 후 총 보증금의 70% 이내 신혼가구, 2자녀 이상 가구 : 증액금액 이내에서 증액 후 보증금의 80% 이내 |
3. 담보별 대출한도
- 한국주택금융공사 전세대출보증,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금안심대출보증 : 해당 보증 규저에 따름 |
- 채권양도 양도협약기관 반환채권양도 : 연간인정소득 - 본인 부채금액의 25% - 기 기금전세자금 대출 잔액 |
신청 시기
임대차 계약서상 잔금 지급일과 주민등록상 전입일 중 빠른 날부터 3개월 이내까지
계약 갱신의 경우 계약갱신일로 부터 3개월 이내까지
같이 보면 좋은 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금 신청 해보자! (0) | 2023.08.26 |
---|---|
고용보험,국민연금 지원받기!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금 계산기 (0) | 2023.08.24 |
2023년 인천 청년에게 주는 지원금, 청년 혜택 (0) | 2023.07.06 |
서울 청년 정부 지원금, 혜택 (0) | 2023.07.05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 (0) | 2023.06.27 |